계층적 군집화
계층적 군집(Hierarchical Clustering)은 n개의 군집으로 시작해 점차 군집의 개수를 줄여 나가는 방법입니다. 유클리디안 거리를 사용해서 계층적 군집분석을 시행해 보겠습니다.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numpy as np from scipy.cluster.hierarchy import dendrogram, linkage X = np.array([[1, 4], [2, 1], [4, 6], [4, 3], [5, 1]]) labels = ['a', 'b', 'c', 'd', 'e'] plt.figure(figsize=(7, 7)) plt.xlim(0, 7) plt.ylim(0, 7) plt.scatter(X[:, 0], X[:, 1]) for lab..
2022. 8. 15.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약수 1과 자기 자신을 제외한 자연수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 되는 수 ex) 12의 약수 : 2, 3, 4, 6 9의 약수 : 3 공약수 공통되는 약수 ex) 6과 8의 공약수 : 2 10과 20의 공약수 : 2, 5, 10 18, 24, 36의 공약수 : 2, 3, 6 최대공약수 (Greatest Common Divisor) 공약수 중에서 가장 큰 수 ex) 6과 8의 최대공약수 : 2 10과 20의 최대공약수 : 10 18, 24, 36의 최대공약수 : 6 배수 자기 자신에 자연수를 곱해서 나오는 수 ex) 2의 배수 : 2, 4, 6, \(\cdots\) 12의 배수 : 12, 24, 36, \(\cdots\) 공배수 공통되는 배수 6과 8의 공배수 : 24, 48, 72, \(\cdots\)..
2022. 6. 28.